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금리인상 힘 받는다/ 한국 떠나는 외국인 투자자/소매판매지수 하락, 소비할 여력이 없다/ 외환보유액 2달 연속 감소...

반드시 알아야 할 경제 뉴스

by 물고기의오른쪽눈 2023. 10. 9. 10:51

본문

728x90
반응형

2023년 10월 9일 월요일 '한글날' 경제브리핑

출처: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 박시동의 텐밀리 경제

 

1.   지붕 뚫은 美 일자리 금리인상 힘 받는다.

미국 노동부가 9월 실업률을 발표했는데

실업률은 지난 8월과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문제는 '비농업부문 고용지수'이다.

9월달 취업자가 시장에서 예측하기로는 17만 명 정도로 예상을 했는데

무려 두 배가 넘는 33만 6천명으로 집계가 되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줄것으로 예측이 된다.

8월 취업자 수보다 무려 50%나 높아진 수치이다.

 

이 발표의 핵심은 미국의 노동시장이 여전히 탄탄하다.

여전히 뜨겁고 핫하다는 것이다.

실업률도 낮고, 고용률이 점점 뜨거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에는 인플레가 잡히기 어렵다.

왜냐하면 고용률도 좋고, 임금도 좋다는 것은 경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여전히 인플레가 높게 되고

그러면 금리인하 시점이 점점 더 미뤄질 것 같다고 예상된다.

최근 불안했던 채권 관련 수익률이 자극을 받아 상승하지 않을까

시카고 상품 거래소에서는 아예 12월 달에 기준금리 인상을 할 것이라는 예측도 힘을 받고 있다.

우리 시장이 계속 불안한 이유가 미국의 금리 문제인데

미국의 금리에 영향을 주는 핵심 지표들이 계속해서 핫한 지표들이 나오고 있다.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2.0% 차이이다.

결국 우려되는 것은 우리 시장에서의 자금이탈, 미국으로의 자금 유출의 걱정이다.

 

2.  한국 떠나는 외국인, 세 달 동안 코스피 6조 7천 억 순매도

외국인 투자자들이 최근 3개월 사이에

상반기에 매수한 것의 절반이상을 매도하였다.

또한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가 11일 거래일 연속 매도이다.

내일까지도 매도세가 이어진다면 16년 만에 가장 긴 기간의 연속 매도이다.

 

외국인들의 매도가 단순한 '차익실현'을 넘어서서 

우리 시장을 아예 떠나는 자금이탈로 봐야 하는 것 아니냐 하는 

우려의 시선이 존재한다.

 

현재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주식을 가지고 있는 보유 비중도

8우러말 기준으로는 26%이다

방금 언급한 연속매도는 9월 기준이다.

반영되면 더 낮아질 것 같다.

26.1%를 외국인들이 가지고 있다.

 

2009년 4월 글로벌 위기 때가 26%인데 

그때 이후로 가장 낮은 비중의 외국인들 보유 비중이다.

사실은 자금 유출이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사이렌을 가지고

모니터링을 예리하게 해야 할 상황까지 온 것 같다.

좀 심각하게 봐야 한다.

 

3.  8월 소매 판매지수가 102.6으로 발표

작년 동기보다 무려 5.2%나 떨어졌다.

이 소비 감소율은

'코로나19'가 본격화했던 2020년

팬데믹 가장 심할 때 그때 확 소비가 줄었었다.

그때 이후 가장 크게 감소한 수치이다.

전월도 마찬가지로 줄었다.

한국은행 통계도 마찬가지이다.

가장 구조적이고도 근본적인 문제는 

가계가 돈이 없기 때문이다.

가계의 소비여력이 얼마나 줄었는가를 보니

2분기 전국 우리 가계에 월평균 흑자액(벌어들인 소득에서 이자, 세금, 연금 빼고 남은 금액)

이 흑자액이 평균으로는 114만 원으로 잡혔는데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8%나 줄었다.

2020년 코로나19 이후로 가장 많이 줄었다.

지금은 그런 재난 상황도 아닌데 코로나를 맞은 것만큼 가계의 흑자액이 확 줄어든 것이다.

그러니까 소비할 여력이 없는 것이다.

그 결과로 소비 축소 지표로 확인이 되는 것이다.

 

4.  외환보유액 2개월 연속 감소... 세계 8위에서 9위로 하락

우리나라 외환보유고가 41억 8천만 달러가 줄어 현재 4141억 달러이다.

홍콩에 밀려 9위로 밀려 추락했다.

강달러 영향도 있지만 

환율방어에 돈도 많이 썼고

여러 가지 정책적인 요소들이 합쳐져서 외환보유액이 줄고 있다.

이것도 혹시 4000억 달러 이하로 떨어지는 것 아닌가 해서

위기 상황으로 봐야 할 것 같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