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튜브 대표적 수익화 모델

알쓸신잡

by 물고기의오른쪽눈 2025. 5. 17. 14:57

본문

728x90
반응형

유튜브의 대표적인 수익화 모델

1. 광고 수익 (YouTube Partner Program, YPP)

조건: 구독자 1,000명 이상, 최근 12개월간 시청 시간 4,000시간 이상 또는 최근 90일 내 쇼츠 1,000만 조회수 필요.

 

절차: YPP 승인을 받은 뒤, 영상에 광고를 삽입하면 광고 시청 또는 클릭 시 수익이 발생합니다.

 

광고 종류: 인스트림(영상 전··), 배너, 오버레이, 쇼츠 광고 등 다양한 형식이 있습니다.

 

2. 슈퍼챗 & 슈퍼스티커 (Super Chat & Super Sticker)

개념: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프리미어 영상에서 시청자가 돈을 내고 메시지나 스티커를 구매해 채팅창에 띄울 수 있는 기능입니다. 메시지는 금액에 따라 색상과 고정 시간이 다릅니다.

 

활성화 조건:

 

구독자 1,000명 이상, 최근 12개월 시청 시간 4,000시간 이상, 18세 이상, 해당 지역 거주, YPP 승인.

 

설정 방법: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수익 창출‘Supers’ 탭에서 Super Chat, Super Sticker 활성화.

 

시청자 이용 방법:

 

라이브 채팅창 하단의 또는 달러 아이콘 클릭 슈퍼챗/스티커 선택 금액과 메시지 입력 결제.

 

수익 구조:

 

시청자가 결제한 금액의 일부(70%)가 크리에이터에게 지급됩니다.

 

3. 채널 멤버십 (Channel Membership)

개념: 구독자가 월정액을 내고 멤버십에 가입하면, 크리에이터가 전용 콘텐츠, 배지, 이모티콘 등 혜택을 제공합니다.

 

조건: 구독자 1,000명 이상, YPP 승인 필요.

 

설정: 유튜브 스튜디오에서 멤버십 상품 구성 및 가격 설정 후 활성화.

 

4. 유튜브 쇼핑 & 제휴 마케팅

유튜브 쇼핑: 영상 내에서 상품을 태그하여 직접 판매 가능. 구독자 1만 명 이상 채널에 제공.

 

제휴 마케팅: 브랜드 제품을 영상에서 소개하고, 판매 시 수수료를 받는 방식.

 

5. 스폰서십 및 브랜드 협업

개념: 브랜드와 협업해 특정 제품·서비스를 홍보하고, 광고료를 받는 방식.

 

진행 방식: 브랜드가 직접 크리에이터에게 제안하거나, MCN(멀티채널네트워크) 등을 통해 연결.

 

6. 팬 후원 및 크라우드펀딩

YouTube 내 후원: 슈퍼챗, 슈퍼스티커, 멤버십 등이 대표적.

 

외부 플랫폼: Patreon, 텀블벅 등에서 팬이 직접 후원.

 

7. 자체 상품 판매 (Merchandising)

개념: 티셔츠, 굿즈, 전자책 등 크리에이터가 직접 제작한 상품을 판매.

 

방법: 유튜브 내 쇼핑 기능, 외부 쇼핑몰(스마트스토어, Shopify ) 연동.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